▲ 최종구 금융위원장.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신혜정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가계·담보대출에 치중된 은행들의 대출 구조를 비판하면서 은행들의 영업 관행이 바뀔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최 위원장이 대출 관행을 바꾸기 위한 자본규제 재검토까지 언급하자 은행들은 “정부가 은행권에만 가계·담보대출 증가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불만을 내비쳤다.

2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최 위원장은 26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혁신 중소기업 같은 생산적 분야보다는 가계대출과 부동산 구입 용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쏠림현상이 매우 심화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전 시중은행 대부분은 가계대출 비중이 20%대를 기록했지만, 최근에는 모든 은행이 50%를 웃돌고 있다.

또한 은행권의 담보·보증 대출 비중은 지난 2009년 50% 수준에서 지난해 68.5%까지 상승했다.

최 위원장은 은행들이 가계대출과 담보대출 위주의 안정적인 영업에 안주하고 있어 혁신기업이나 신산업 분야에는 자금이 제대로 흘러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최 위원장은 “위험가중자본 가중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나라마다 다른데 호주 같은 나라는 25%인데 우리나라는 15% 수준인 만큼 그런 것들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며 “은행의 영업활동을 시장에만 맡겨 놓는 것은 시장주의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은행들은 불만을 토로하며 가계대출과 담보대출 비중이 높아진 것이 은행 탓만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대출 비중이 줄어든 것은 이제는 우량기업들이 은행대출을 잘 받지 않고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이고, 중소기업 대출은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관계자는 “가계·담보대출이 늘어난 것은 건설회사들이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밀어내기 분양을 해서 집단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