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내 단기간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 감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투데이=손현지 기자] 올해 하반기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가 꼽혔다. 무려 1400조원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계빛에 대한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은 20일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6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 10월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한국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을 물었다.

응답자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 연준(Fed)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 등을 꼽았다.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가 35%로 1순위에 올랐고, 이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28%), 미 연준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24%)로 순으로 거론됐다.

복수응답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87%가 금융시스템의 위험 요인으로 가계부채를 지목했다. 지난 5월 조사 (85%)결과 때 보다 2%p 더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단기간 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의 리스크가 생길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53%로 지난 상반기 조사(51%)보다 높아졌다. 

중기적(1~3년)으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38%에서 34%로 낮아진 반면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15%에서 21%로 상승했다.

한은 금융안정국 안정분석팀은 “3년 내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아졌다”며 “가계부채가 6월 말 기준 1388조3000억원에 달했으며 9월 말 기준은 1400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되다보니 주요 리스크로 대두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지난번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던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취약업종 기업구조조정 등은 제외됐다. 대신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